4.7 SSH를 사용한 접속과 키 페어: 공개키 암호 방식을 이용한 접근 방식
1) SSH로 접속하기
서버에 설치한 소프트웨어를 조작하려면 SSH방식을 사용해 원격 접속으로 조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2) 키페어란
키 페어는 로그인할 때 인증으로 사용하며, 공개키와 비밀키로 된 한 쌍을 말한다.
공개키 방식이라고 불리며 자물쇠를 잠그는 키와 자물쇠를 여는 키를 공개키와 비밀키로 조합하여 사용하는 방법이다.
SSH키로 서버에 접속할 때 인스턴스쪽에서 키 페어에 포함되어있는 공개키를 지정하고 클라이언트쪽 소프트웨어에는 내려받는 키페어 파일을 비밀키로 설정하여 사용한다.
잊어버렸을 경우에는 서버를 재구축해야한다.
4.8 Elastic IP 주소 : 고정 공인 IP 주소를 부여
AWS에는 고정 IP주소로 Elastic IP 주소를 제공하고 있다.
1) Elastic IP 주소란
AWS가 제공하는 정적인 공인 IPv4 주소이다. EC2 인스턴스는 정지 후 다시 시작하면 공인 IP주소가 바뀌게 된다. 이는 서버로서 사용하는데 문제가 된다. 그래서 ElasticIP가 고정 IP로 사용된다.
2) Elastic IP 주소의 확보와 부여
Elastic IP 주소는 AWS계정에 연결되어있다. 인스턴스 단위가 아니므로 IP주소를 부여한 인스턴스를 삭제해도 확보한 IP주소는 그대로 AWS 계정에서 소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3) Elastic IP 주소의 요금
기본적으로 인스턴승네 부여된 IP한개는 무료이고, 추가로 IP를 연결하면 IP는 시간에 비례하여 요금이 부과된다.
소유한 IP가 ;중지된 인스턴스나 분리된 네트워크에 연결된 경우에도 시간당 요금이 부과된다.
'개발 도서 읽기 > 그림으로 이해하는 AWS 구조와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장] 5.1~5.2 Amazon S3 / 스토리지 클래스 (0) | 2024.11.18 |
---|---|
[4장] 4.9~4.11 ELB / 스냅샷 / 오토 스케일링 (0) | 2024.11.17 |
[4장] 4.5~4.6 인스턴스 / EBS (0) | 2024.11.15 |
[4장]4.3~4.4 인스턴스생성과요금 / AMI (1) | 2024.11.14 |
[4장] 4.1~4.2 EC2 (0) | 2024.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