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도서 읽기/그림으로 이해하는 AWS 구조와 기술
[4장] 4.1~4.2 EC2
nnhhmm
2024. 11. 13. 12:50
4.1 Amazon EC2란: 짧은 시간에 실행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가상 서버
1) Amazon EC2란
Amazon Elastic Compute Cloud는 컴퓨팅 용량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서버에 필요한 세트를 클라우드에서 빌릴 수 있다는 뜻이다.
EC2는 매니지드 서비스가 아니다.
2) 클릭 한번으로 최적의 서버를 만들 수 있다.
다양한 서버 시스템의 조합(인스턴스 유형)과 OS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이 준비되어있기 때문에 이를 선택하기만 하면 된다.
3) 바로 생성할 수 있고 바로 삭제할 수 있다.
고장난 경우, 같은 서버를 복제하기 쉽기 때문에 바로 복구할 수 있다.
부하가 증가한 경우, 같은 구성의 서버를 복제하여 부하 분산하기 쉽다.
접속이 줄었을 경우 서버 사양을 스케일 다운하여 비용을 줄이기 쉽다.
4) 인스턴스 유형 및 OS를 선택한다
4.2 EC2의 사용 절차: 가상 서버를 사용하기까지
1) EC2 운영
관리 콘솔에서 작업할 수있다.
2) EC2 서비스의 기능
인스턴스 | AWS 클라우드에 생성한 가상 서버를 말한다. |
AMI | 가상 이미지를 말한다.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기준이 되는 금형과 같은 것이다. |
키 페어 | 인스턴스에 접속할 때 인증을 위해 사용하는 키이다 |
EBS | AWS 클라우드에서 사용할 수있는 스토리지이다. 인스턴스 스토리지로 사용한다. |
보안 그룹 | 가상 방화벽으로 1개 이상의 인스턴스 트래픽을 제한한다. |
Elastic IP | 정적(고정) IPv4주소이다. |
3) EC2의 사용 절차
- AWS에 로그인한다.
리전을 선택하고 관리 콘솔을 연다
EC2 대시보드를 연다. - EC2 인스턴스를 생성한다.
AMI를 선택한다.
인스턴스 유형을 선택한다.
네트워크와 IP주소를 할당한다.
스토리지를 추가한다.
보안그룹을 설정한다.
키 페어를 선택한다. - EC2에 접속한다.
SSH로 EC2에 접속한다. -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설정한다.
4) 인스턴스 설정 항목
AMI | EC2 인스턴스의 가상 이미지이며 소프트웨어 구성을 작성한 템플릿이다. |
인스턴스 유형 | EC2 인스턴스 장비 사양이다. CPU, 메모리, 장비 유형을 결정한다. |
리전 | 서버를 설치할 지역이다. |
네트워크 | EC2 인스턴스를 배치할 네트워크이다. AWS의 VPC(AWS 계정 전용 가상 네트워크)에서 선택한다 |
서브넷 | 설치할 네트워크의 범위이다. VPC 내에 어떤 서브넷을 설치할지 선택한다. |
IAM 역할 | 인스턴스 접속 권한 정책을 설정한다. |
스토리지의 용량과 종류 | 서버 장비의 스토리지이다. 기본적으로 EBS를 선택하고 사용할 디스크 용량과 스토리지의 종류를 선택한다. |
태그(EC2 인스턴스의 레이블) | 인스턴스에 임의의 태그를 부여할 수있다. |
보안 그룹 | 프로토콜별로 포트 혹은 IP 주소, 아니면 양쪽 모두 필터링을 설정한다. |